본문 바로가기

학교현장실습학기제란?

배경

교육실습 내실화 및 교직 전문성 신장 요구

학교 현장 및 학습자 이해

현장 및 학습자 이해, 교직 실무 등 학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천적 역량 교육 강화 요구

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원 전문성 고도화

디지털 전환(Digital Transformation), 기후·환경 위기 등 사회 저변의 변화에 대응하여 교원 전문성, 미래 소양의 중요성 증대

학교현장 실습학기제의 도입 및 추진 경과

예비교원의 현장 역량 제고를 위한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추진

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실시 (’22년~ )

학교 현장 및 ‘학교현장실습학기제’란?
  • 기존 4주 현장실습을 한 학기 단위 과정으로 전환하는 실습 반안
  • 대학(사전교육, 이론, 평가)과 실습협력학교(실습)의 유독적 연계 운영

학교현장실습학기제 운영 모형

목적

예비교원의 현장 역량 함양을 통한 교직 전문성 재고

실습 영역
교육실습
교육과정
교직실무
학급운영 및 생활교육
평가
수업
실습 단계
  1. 준비
    실습학기제 운영 기반 조성 (운영 전)
  2. 적응
    실습학기제 전반에 대한 소개, 학교 조직·문화 및 구성원 등과 친숙해지는 기회 제공 등
  3. 책임준비
    실습 영역별 참관 중심의 실습
  4. 상호책임
    교사와 실습생이 긴밀하게 협력하게 협력하며 실제적인 실습 기회 확대 (수업, 학급운영 등)
  5. 평가
    교육실습 전반에 대한 종합평가
운영 주체
  • 교육부/교육청

  • 교육양성기관

  • 실습혁력학교

학교현장 실습학기제의 운영·협력 체계

협력 체계
실습지도교육실습생

교육부/교육청

  • 실습기제 협업 기반 구축
  • 행정재정 지원 및 성과 공유 확산
  • 지역중심 실습하기제 운영

교육부/교육청에서 교육실습생에게실습기반조성

교원양성기관

  • 실습-이론 연계 교육과정 개편
  • 실습협력학교와의 실습협력
  • 교육 실습생 지도

실습협력학교

  • 학교 현장 실습 지도
  • 교원양성기관과의 실습협력
  • 실습 환경 조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