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한 눈에 보는 학교현장실습학기제

중학교

주의표시 단계별 활동, 운영 일정 등은 학교별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

구분 운영 전 운영 중 운영후
단계
(일정)
준비
(직전 학기 - 직전 방항)
적용
(1-3주)
책임준비
(4-7주)
상호책임
(8-14주)
평가
(15주)
(결과보고)
교원양성기간
  • 실습준비
    • 실습협력학교 수용 인원 파악
    • 실습생 수강이력 확인, 선정
    • 실습협력학교 최종 확정
    • 실습지도교수 확정
    • 실습생 사전교육
    • 실습생 범죄전력조회
    • 안전공제회 보험가입 완료
  • 실습연계 교과목 운영
    • 실습학기 연계 교과교육과정 운영 계획안내
    • 학교 현장 경험(참관)에 대한 실습생의 경험 성찰과 지도교수 피드백
  • 실습연계 교과목 운영
    • 실습생의 학교 현장 경험(책임준비) 성찰에 대한 지도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실습일지, 수업지도안 등 각종 실습 관련 기록물에 대한 지도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1차 연구 수업을 위한 지도 및 피드백
  • 실습연계 교과목 운영
    • 실습생의 학교 현장 경험(상호 책임) 성찰에 대한 지도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실습일지, 수업지도안 등 각종 실습 관련 기록물에 대한 지도 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2차 연구 수업을 위한 지도 및 피드백
  • 설문조사
    • 실습생의 학교 현장 경험 전반에 대한 성찰과 지도 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실습학기제 참여 주체 대상 설문조사 실시 및 결과 분석
  • 결과보고
    • 실습학기제 운영 결과 보고서 작성
    • 실습학기제 운영 결과 공유 및 환류를 위한 성과 보고회 개최
교원양성기관-실습협력학교-시도교육청 사전 협의회 중간 협의회 사후 협의회
성과공유
실습협력학교
  • 실습운영계획 수립
    • 업무분장, 예산사용계획, 지도교사 선정 등
  • 실습협력학교 운영계획서 작성
    • 실습 일정, 세부 프로그램 등 확정
  • 실습실 환경 조성
    • 실습실 확보 및 기자재, 사무용품 등 준비
  • 실습생 예비소집
    • 오리엔테이션, 실습계획서 배부 및 유의사항 전달, 필수교육 이수확인
교육과정
  • 결과보고
    • 각 시도교육청 작성 양식 참고 (결과보고서, 결산보고서, 예산 정산서 등)
  • 교육과정 이해
    • 개정교육과정
    • 자유학기제
    • 교과 교육과정
    • 교육과정 재구성
    • 교-수-평-기 일체화
  •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이해
    • 학교 교육과정 이해
    • 창의적 체험활동 이해
    • 창의적 체험활동 참관
    •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서 작성 실습
  •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
    • 교육과정-수업-평가-기록의 일체화의 실제
    • 교육과정 재구성 계획서 작성 실습
    • 자유학기 프로그램 계획서 작성 실습
  • 교육과정 영역 종합평가
    • 학교 교육과정 편성·운영 분석 보고서
    •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서
수업
  • 참관 준비
    • 학교 교수학습 중점사항 이해
    •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연수
    • 교수ㆍ학습 방법 이해
    • 학습자 이해
  • 참관 및 실습
    • 수업 참관
    •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및 피드백
    • 수업 실습 및 피드백
    • 실습생 연구수업
  • 수업 실습
    • 수업 실습 및 피드백
    • 실습생 연구수업
  • 수업 성찰 및 평가
    • 수업 성찰(교과협의회)
    • 수업 영역 종합 평가
    • 교수학습능력평가
    • 학생 배움 확인 및 수업 개선점 공유
평가
  • 평가규정 및 평가계획 이해
    • 학업성적관리규정 이해
    • 교과별성취기준 이해
    • 교과평가계획 이해
    • 지필평가 문항 제작 원리 이해
    • 과정중심평가 이해
  • 평가의 실제 관찰 및 모의 수행 계획, 지필 문항 제작
    • 성적처리과정 이해
    • 교과교사의 실제 수행평가 관찰
    • 모의 수행평가 계획 수립
    • 모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
    • 수행 및 지필 평가 문항 제작 피드백
  • 평가 영역 종합 피드백
    • 평가 영역 종합 피드백
    • 출제 원안 평가(평가 목적의 부합성, 문항 제작 원리 적합성)
    • 문항 정보표 및 수행평가 평가(채점 기준표의 적합성, 신뢰도 등)
학교운영 및 생활교육
  • 사전 협의
    • 담임지도교사와 실습생 상견례
    • 학급운영 및 생활교육 실습 관련 지도
  • 학급 담임업무 참관
    • 조·종례, 학급회의, 학급행사, 학년협의회 등
    • 학급운영 계획서 작성 실습 및 피드백
    • 학생생활규정의 이해
    • 학교폭력의 이해
    • 교권침해의 이해
  • 학급 담임업무 실습
    • 조·종례, 학급회의, 학급행사 등 실습
    • 교육활동 침해 지도 방법
    • 학교폭력 사안 처리 방법
    • 교권침해 사안 처리 방법
  • 학급운영 및 생활교육 영역 종합평가
    • 학생 상담 방법 평가
    • 학급 운영 계획서 평가
    • 생활 교육 방법 평가
교직실무
  • 교직실무 이해
    • 교육 법규의 이해
    • 교원의 복무
    • 공문서 작성 및 관리
    • 기록물 관리
    • 학교 조직의 이해
    • 교무행정업무 부서별 이해 및 사전교육
  • 현장실무 부서별 실습
    • 업무 처리 절차 이해
    • 업무별 나이스 사용자 매뉴얼 지도
  • 현장실무 부서별 실습
    • 부서별 학교 행사 참관 및 보조
    • 부서별 업무 계획 수립 실습
  • 현장실무 평가
    • 부서별 업무 계획 평가
    • 업무별 나이스 사용 평가
    • 공문서 작성 평가

고등학교

주의표시 단계별 활동, 운영 일정 등은 학교별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

구분 운영 전 운영 중 운영후
단계
(일정)
준비
(직전 학기 - 직전 방항)
적용
(1-3주)
책임준비
(4-7주)
상호책임
(8-14주)
평가
(15주)
(결과보고)
교원양성기간
  • 실습준비
    • 실습협력학교 수용 인원 파악
    • 실습생 수강이력 확인, 선정
    • 실습협력학교 최종 확정
    • 실습지도교수 확정
    • 실습생 사전교육
    • 실습생 범죄전력조회
    • 안전공제회 보험가입 완료
  • 실습연계 교과목 운영
    • 실습학기 연계 교과교육과정 운영 계획안내
    • 학교 현장 경험에 대한 실습생의 경험 성찰과 지도교수 피드백
  • 실습연계 교과목 운영
    • 실습생의 학교 현장 경험(책임준비) 성찰에 대한 지도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실습일지, 수업지도안 등 각종 실습 관련 기록물에 대한 지도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1차 연구 수업을 위한 지도 및 피드백
  • 실습연계 교과목 운영
    • 실습생의 학교 현장 경험(상호 책임) 성찰에 대한 지도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실습일지, 수업지도안 등 각종 실습 관련 기록물에 대한 지도 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2차 연구 수업을 위한 지도 및 피드백
  • 설문조사
    • 실습생의 학교 현장 경험 전반에 대한 성찰과 지도 교수의 피드백 제공
    • 실습학기제 참여 주체 대상 설문조사 실시 및 결과 분석
  • 결과보고
    • 실습학기제 운영 결과 보고서 작성
    • 실습학기제 운영 결과 공유 및 환류를 위한 성과 보고회 개최
교원양성기관-실습협력학교-시도교육청 사전 협의회 중간 협의회 사후 협의회
성과공유
실습협력학교
  • 실습운영계획 수립
    • 업무분장, 예산사용계획, 지도교사 선정 등
  • 실습협력학교 운영계획서 작성
    • 실습 일정, 세부 프로그램 등 확정
  • 실습실 환경 조성
    • 실습실 확보 및 기자재, 사무용품 등 준비
  • 실습생 예비소집
    • 오리엔테이션, 실습계획서 배부 및 유의사항 전달, 필수교육 이수확인
교육과정
  • 결과보고
    • 각 시도교육청 작성 양식 참고 (결과보고서, 결산보고서, 예산 정산서 등)
  • 교육과정 이해
    • 고교학점제
    • 교육과정 문해력
    • 교과 교육과정
    • 교육과정 재구성
    • 교-수-평-기 일체화
  •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이해
    • 학교 교육과정 편성·운영 이해
    • 창의적 체험활동 이해·참관
    •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서 작성 실습
  •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
    • 교육과정-수업-평가-기록의 일체화의 실제
    • 교육과정 재구성 계획서 작성 실습
  • 교육과정 영역 종합평가
    • 학교 교육과정 편성·운영 분석 보고서
    •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서
수업
  • 참관 준비
    • 학교 교수학습 중점사항 이해
    •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연수
    • 교수ㆍ학습 방법 이해
    • 학습자 이해
  • 참관 및 실습
    • 수업 참관
    •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및 피드백
    • 수업 실습 및 피드백
    • 실습생 연구수업
  • 수업 실습
    • 수업 실습 및 피드백
    • 실습생 연구수업
  • 수업 성찰 및 평가
    • 수업 성찰(교과협의회)
    • 수업 영역 종합 평가
    • 교수학습능력평가
    • 학생 배움 확인 및 수업 개선점 공유
평가
  • 평가 관리
    • 학업성적관리규정
    • 성취평가제
    • 교과 성취기준
    • 최소성취수준
  • 평가 계획
    • 평가 계획 수립
    • 평가 문항 제작 이해
    • 수행평가 관찰
  • 평가 실제
    • 평가 문항 제작 실습
    • 성적 처리 이해
    • 평가 결과의 기록 및 활용
  • 종합평가
    • 평가 계획서
    • 평가 문항 제작
    • 평가 결과 기록
학교운영 및 생활교육
  • 사전 협의
    • 담임지도교사와 실습생 상견례
    • 학급운영 및 생활교육 실습 관련 지도
  • 학급 담임업무 참관
    • 조·종례, 학급회의, 학급행사, 학년협의회 등
    • 학급운영 계획서 작성 실습 및 피드백
    • 학생생활규정의 이해
    • 학교폭력의 이해
    • 교권침해의 이해
  • 학급 담임업무 실습
    • 조·종례, 학급회의, 학급행사 등 실습
    • 교육활동 침해 지도 방법
    • 학교폭력 사안 처리 방법
    • 교권침해 사안 처리 방법
  • 학급운영 및 생활교육 영역 종합평가
    • 학생 상담 방법 평가
    • 학급 운영 계획서 평가
    • 생활 교육 방법 평가
교직실무
  • 교직실무 이해
    • 교육 법규의 이해
    • 교원의 복무
    • 공문서 작성 및 관리
    • 기록물 관리
    • 학교 조직의 이해
    • 교무행정업무 부서별 이해 및 사전교육
  • 현장실무 부서별 실습
    • 업무 처리 절차 이해
    • 업무별 나이스 사용자 매뉴얼 지도
  • 현장실무 부서별 실습
    • 부서별 학교 행사 참관 및 보조
    • 부서별 업무 계획 수립 실습
  • 현장실무 평가
    • 부서별 업무 계획 평가
    • 업무별 나이스 사용 평가
    • 공문서 작성 평가